농촌 노인 절반 이상 ‘문자해득 능력’ 떨어져
농촌 노인 절반 이상 ‘문자해득 능력’ 떨어져
  • 이은용 기자
  • 승인 2019.03.14 13: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가 차원 문해교육 추진…삶의 질 향상 도모해야
KREI, ‘농촌 노인의 문해력 제고 방안’ 연구 결과

[팜인사이트=이은용 기자] 농촌 노인의 절반 이상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문자해득 능력 등을 일컫는 문해 교육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국가 책임 하에 문해 교육을 통해 농촌 노인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마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창길) 연구위원은 ‘농촌 노인의 문해력 제고 방안’ 연구를 통해 “농촌 노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문해 교육이 절실하다”고 언급하며, “이를 위해 교육 인정 문해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농업‧농촌 특성에 맞는 문해 교재와 문해 교사 육성‧조직화를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농촌 노인 중 문해 교육이 필요한 노인은 약 58%로, 100만여 명(기초문해교육 40만 명) 정도이고, 이는 농촌 마을당 29명, 읍‧면당 754명(기초 문해 교육 282명) 수준이다.

농촌 지역 중에서도 읍보다 면지역이, 성별로는 여성 노인에게서 수요가 많았다. 또한 이 같은 문해력 저하로 인해 농촌 노인 중 3분의 1 정도가 관공서, 은행, 우체국 등의 서류 작성과 이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처방전 이해나 공공 서비스 적시 이용 등에도 어려움이 있어 삶의 질 관련 서비스 전달의 효과성이 더욱 저하되고 있었다.

실제로 문해는 농촌 노인의 사회 참여, 사회 공공서비스 이용 확률을 높였고, 건강과 삶의 질에도 영향을 주었다.

문해가 가능한 노인은 비문해 노인보다 정치 참여에 관심을 가질 확률이 1.9배 높고, 농업·농촌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확률이 2.8배 높았으며, 자신의 건강 상태를 약 4.4배 긍정적으로 인식, 삶의 질에 만족할 확률이 5배 정도로 높았다.

문제는 농촌 노인 비문해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은 매우 부족해 국가 정책에 있어서도 농촌 문해와 관련한 정부의 비전이나 목표는 부족한 상태이며, 특히 교육당국과 농정당국의 협력은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마상진I 연구위원은 “농촌 노인의 문해력 제고의 기본 방향으로 ‘문해에 대한 정부(중앙, 지방)의 책무성 강화’, ‘문자해득 교육에서 벗어난 생애 역량 계발로 연계’, ‘농촌 노인 특성에 맞는 비문해 해소 방안 모색’ 등을 제시한다”며 “비문해로 인해 그동안 누리지 못한 개인의 기본권 보장 차원에서 국가 책임 하에 문해 교육을 통해 농촌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