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농업인 직업적 지위·경영주 인식 여전히 낮아
여성농업인 직업적 지위·경영주 인식 여전히 낮아
  • 이은용 기자
  • 승인 2019.04.17 18: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녀교육 문제·문화 활동 제한 농촌 떠나고 싶어 해
농식품부, 문제 해결 위해 여성농업인 전담팀 구성 계획

[팜인사이트=이은용 기자] 여전히 여성농업인들은 직업적 지위와 경영주 인식이 남성농업인 보다 비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젊은 여성농업인과 다문화 여성은 자녀 교육 문제와 문화 활동이 제한돼 농촌을 떠나고 싶다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왔다.

이에 농식품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통해 여성농업인 관련 업무를 중점 추진할 전담팀을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는 ‘2018년 여성농업인 실태조사’ 결과 이 같은 의견이 나왔다고 발표했다.

주요 조사 결과를 보면 우선 여성농업인 직업적 지위와 경영주 인식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농업인의 지위를 남성농업인보다 낮게 인식하는 비율은 81.1%였고, 여성농업인의 직업적 지위를 경영주로 인식하는 비율은 평균 38.4%로 나왔다.

여성농업인의 지위가 남성과 평등해야 한다는 의견은 연령이 낮을수록 높아 30~40대에서 75~77%로 높은 수치를 보였고, 여성농업인의 지역사회 활동 중 귀농 여성농업인의 작목반, 영농조합법인의 참여가 특징적이었다.

또 젊은 여성농업인과 다문화 여성은 자녀 교육과 문화에 관심이 많았다. 농촌을 떠나고 싶은 이유로는 농사일의 어려움을 첫 번째로 문화생활을 즐길 수 없어서가 다음으로 높았고 30~40대는 교육여건의 취약성과 문화생활 접근의 어려움을 제시했다.

다문화 여성들은 교육여건과 환경의 불편함으로 농촌을 떠나고 싶어 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30대는 자녀 양육이나 문화생활에 관심이 많았고 40대와 50대는 유통판매나 마케팅, 농업생산 등에 대한 교육을 희망했으며, 의료 기관을 자주 이용하는 고령농은 복지정책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여성농업인 정책의 인지도와 정책참여율이 낮게 조사됐다. 여성농업인 정책인지도는 6.1~39.4%이며, 정책참여도는 인지도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농번기 마을공동 밥상을 제외하면 참여율은 0.7%~12.6%에 불과했다.

정책사업 중 농번기 마을공동밥상(39.4%), 마을기업 및 농촌 체험마을 기업(33.4%), 여성농업인 일손 돕기 지원 사업(32.5%) 순으로 인지도가 높았고, 또한 영농규모가 클수록 인지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농산물 유통·판매 분야에 대한 여성농업인의 관심이 증가했다. 여성농업인이 농업경영 관련 참여하고 있는 분야는 판로결정이 57.6%로 가장 높고, 농사기술 및 판매 정보 56.1%, 농작물 규모 및 종류 선정 41.7% 순으로 조사됐다.

또한 여성 농업인이 농업생산 이외 소득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향 62.5%는 현재의 참여율 32.1%보다 높게 조사됐고, 참여를 원하는 분야는 농산물 판매(41.6%), 농업임금노동(24.3%), 농산물 가공 (23.2%) 순서로 참여 수요가 높았다.

이에 농식품부는 이번 조사를 통해 농업·농촌 분야에서 여성농업인의 지위에 대한 인식제고, 전문 경영인 역량교육, 현장의 정책 체감도 제고 등이 필요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러한 여성농업인의 정책 수요에 부응하고자 여성농업인 전담팀을 올해 상반기 내에 신설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 실태조사결과는 ‘제5차 여성농업인 육성 기본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여성농업인 전담팀 중점 추진 내용을 보면 양성이 평등한 농촌구현 등 여성농업인 지위 제고, 정부 및 관련 위원회에서 여성농업인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여성 위원 비율 향상 등을 위한 노력할 방침이다.

또한 여성농업인이 경영주체로서 농업 경영에 참여할 수 있도록 취창업, 경영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으로 여성농업인의 역량 강화키로 했다.

현장의 여성농업인 정책 체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지자체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여성농업인센터 등을 활용하는 방안 마련하고, 특히 농업·농촌분야 정착에 어려움으로 농촌을 떠나고 싶어 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다문화 여성에 대한 정착지원 프로그램도 운영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