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밭 기반 정비·용수 공급체계 마련해야”
“한국형 밭 기반 정비·용수 공급체계 마련해야”
  • 이은용 기자
  • 승인 2019.09.26 13: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산지 중심 정비사업 추진 등 대책 필요
박완주 의원 “입법·정책 예산 뒷받침할 것”

[팜인사이트=이은용 기자] “밭 기반 정비사업 적극 추진 밭 용수 확보 적극 나서야 한다”

지난 5일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제2차 농어촌물포럼 ‘안정적인 밭 용수 확보와 공급방향’ 토론회에 참석한 발제자들은 이구동성 이 같이 주장했다.

최진용 서울대 교수는 발제에서 “현재 밭작물은 논에 비해 기반시설이 부족하고 대부분 사계절 확보가 용이하고 수질이 양호한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다”며 “용수공급체계가 있지 않으면 기후변화에도 취약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국형 밭 기반 정비 및 용수 공급체계 모델 개발, 동절기 고려한 한국형 밭관개 관수로 망 설계 방안 및 기준 마련하고, 둠벙을 활용한 팜 폰드 활용방안 도출 등도 적극 고려해야 한다”고 해결책을 제시했다.

박완주 의원이 밭 용수 개발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박완주 의원이 밭 용수 개발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발제에 나선 김영화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박사도 “농업구조가 수도작 위주에서 복합영농으로 바뀌고 기후변화까지 지속되면서 농업구조가 크게 변하고 있다”며 “경북 문경시 동로지구, 제주 서귀포시 성읍지구, 강원 강릉시 안반데기 지구 등이 밭 용수 공급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구체적 사례”라고 소개했다.

이어 “밭지대의 물 공급 효율을 높이기 위해 수원공부터 말단 노지 스마트 관개장치까지 통합적 관개시스템 구축을 제안한다”며 “특히 ICT기반 스마트 밭용수공급시스템 구축 시범사업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채광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사는 발제를 통해 “그동안 추진된 밭기반정비사업은 사업면적과 사업비 등 사업규모가 점차 축소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주산지 중심의 정비사업 추진, 농지보전부담금 일부 지자체 이양, 농지보전에 대한 개념 확충 등의 대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박종훈 농림축산식품부 농업기반과장은 “밭 기반이 논에 비해 홀대 받은 것은 사실이며, 1994년부터 추진한 밭기반정비사업율이 16%에 불과한 것이 이를 반증한다”면서 “밭기반정비사업이 지방이양 되면서 사업축소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지만 정부는 대상지 선별, 모델 개발 등을 통해 지방이양 사업이 연착륙되고 사업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박완주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밭 용수 개발에 대한 기술적인 접근보다 중요한 것은 사업 전반에 대한 비전과 방향성이기 때문에 이번 토론회에서 제기된 문제를 꼼꼼하게 점검해서 입법과 정책, 예산으로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