멧돼지 ASF 바이러스 검출 계속 늘어…3월 위기설 확산
멧돼지 ASF 바이러스 검출 계속 늘어…3월 위기설 확산
  • 이은용 기자
  • 승인 2020.03.12 10: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역울타리 밖까지 퍼져 ASF 재발·전국 확산 위기감 고조
한돈협회 “광역수렵장 지정 등 특단 대책 수립하라” 촉구
서삼석 의원 “상시 방역대응체계 확립…‘방역부’ 신설해야”

[팜인사이트=이은용 기자] 코로나19 사태로 잠시 잊혔던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여전히 잡히지 않고 있어 양돈농가에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계속해서 야생 멧돼지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면서 봄철 번식기 이후 ASF 재발과 전국적 확산이 이뤄지는 것이 아닌지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현황
현황

실제로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지역별로 화천군 138건, 연천군 119건, 파주시 70건, 철원군 22건 등 총 349건의 멧돼지에서 ASF가 확진된 것으로 조사됐다.

문제는 멧돼지 폐사체 발견이 광역울타리 안 뿐 만 아니라 밖에서 발견되고 있어 ASF 방역의 3월 위기설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대한한돈협회는 성명서를 통해 환경부가 ASF 재발방지를 위해서 하루 속히 야생멧돼지 ASF 검출지역에 대한 멧돼지를 완전 소탕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특히 이를 위해 하루 빨리 이 지역을 광역수렵장으로 지정하고, 수천 명의 전문 수렵인들을 일제 투입해 완전 소탕하는 특단의 대책을 조속히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환경부가 내세우는 광역울타리만으로는 야생멧돼지의 ASF 확산을 막을 수 없다. 11일 현재 ASF 바이러스가 화천, 연천, 파주, 철원 등지에서 양성검출된 야생멧돼지 폐사체가 349마리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면서 “무엇보다 멧돼지 감염개체가 광역울타리를 넘어 동·서·남 구분 없이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추세이며, 전문가들은 봄철 번식기 이후 ASF재발과 전국적 확산이 진행되면 코로나19 못지않게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사태와 마찬가지로 ASF 역시 국가적 재난이다. 한순간의 방심이 거스를 수 없는 대가를 치를 수 있다”면서 “국무총리도 재차 ASF 확산 차단에 총력을 지시한 만큼, 환경부는 과하다 할 만한 특단의 대책을 늦기 전에 실시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재욱 농식품부 차관이 방역현장을 찾아 점검하고 있다.
이재욱 농식품부 차관이 방역현장을 찾아 점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국회에서는 인수 전염병에 대한 상시 방역대응체계 확립을 위한 통합 ‘방역부’신설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나왔다.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11일 ‘2020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코로나19 추경 예산안 심사과정’에서 정세균 국무총리를 상대로 이 같은 요구를 했다.

서 의원은 “최근 코로나19와 해마다 되풀이되는 구제역, AI, ASF등 가축전염병으로 인한 피해 확산으로 인수전염병 공통으로 방역역량 강화의 시급성이 제기되고 있다”면서 “농식품부 산하의 방역정책국과 검역본부, 보건복지부 산하의 질병 정책과, 질병관리본부를 통합한 ‘방역부’를 신설해 인수전염병을 공통으로 상시 감염병 대응 체계를 확립할 것”을 강력히 제안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