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25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팜 역사속으로⑤ 시장도매인 도입을 반대하는 도매시장법인] 서울시공사가 가락시장에 경매제와 시장도매인을 병행해 운용하겠다고 밝히자 도매시장법인들은 지속적으로 반대입장을 고수해왔다.도매법인, 시장도매인 가격변동도 불안정우선 도매법인들은 시장도매인 거래가격이 경매에서 발견한 가격보다 안정적이라는 데 동의하지 않는다. 윤창식(2009)은 '강서도매시장의 상장경매제와 시장도매인제 가격 비교분석'에서 배, 사과, 감귤, 배추, 양파, 풋고추 6개 품목은 경매가격보다 시장도매인의 가격 변동이 크다고 논증한 바 있다. 또한 시장도매인이 출하자에게 경매보다 높은 가격을 준다는 것도 6개 품 팜 역사속으로 | 박현욱 기자 | 2018-05-04 10:52 [팜 역사속으로④ 왜 가락시장에 시장도매인을 도입하려 할까] 현재 가락시장에는 경매제도(정가·수의매매 포함)만 운영되고 있다. 가락시장 운영을 맡고 있는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이하 서울시공사)는 시설현대화사업과 맞물려 가락시장에 시장도매인을 도입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서울시공사는 도매시장에 2가지 유통경로를 규정하고 경쟁을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가락시장 내 2가지 유통경로가 가능함에도 현재의 가락시장은 출하자에게 도매시장법인만 거래하도록 강제한다는 게 요지다.시장도매인 도입, 공간 물류 효율 상승현재 가락시장 청과부문에는 6개의 도매시장법인이 영업 중이며 거래금액의 평균 5% 팜 역사속으로 | 박현욱 기자 | 2018-05-03 11:30 [팜 역사속으로③ 시장도매인] 경매의 한계, 새로운 거래방식의 요구경매제는 국내 농수산물 유통에 큰 기여를 했지만 몇 가지 문제점이 도출돼 완벽한 거래제도로 인정받지 못했다. 단기적으로 거래가격 변동폭이 크고 경매를 위한 상·하차, 진열, 상품의 이송, 물리적 공간의 한계 등으로 새로운 거래방식에 대한 요구가 나타났다.또한 하나의 도매시장에 수 개의 도매시장법인들이 존재해 출하가 자유롭다고는 하지만 각 도매시장법인들은 특정 품목에 강해 현실적으로 한 품목당 1~2개의 법인들로 출하가 제한되는게 현실이었다. 이는 경매제 이외의 새로운 거래제도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팜 역사속으로 | 박현욱 기자 | 2018-05-03 00:52 [팜 역사속으로➁ 농안법 파동] 중매인 도매행위 금지 농산물 대혼란 초래농산물 유통에서 지속적으로 문제가 발생하자 1993년 6월 의원입법으로 농안법이 개정·공포됐다. 개정안에는 중매인의 도매행위를 금지하는 조항이 포함됐다. 도매시장의 중매인은 수탁판매, 수집판매, 도매행위 등 자기계산으로 매매하는 일체의 도매행위를 중단하고 단순히 중개만 하라는 강제조항이 삽입된 것이다.중매인은 집단 반발하면서 영업 범위를 중개업에 한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함으로 잔품처리를 위한 도매행위만이라도 시행령에 반영해 줄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당시 법무부는 유권해석상 잔품처리 중 팜 역사속으로 | 박현욱 기자 | 2018-04-30 18:00 [팜 역사속으로➀ 농산물 도매시장 거래제도의 역사]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는 2020년까지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가락시장에 시장도매인 도입을 시사했다. 시장도매인 도입 문제는 지난 수 십 년간 도매법인들과 서울시공사와의 줄다리기속에 도입 시기만 저울질하면서 좀처럼 진전되지 못한 사인이다. 최근에서야 서울시공사에서는 시설현대화가 마무리 되는 시점과 맞물려 시장도매인 도입을 기정사실화 하고 시기까지 명시하는 강수를 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관련업계에서는 이해 당사자 간 시장도매인 도입 문제를 두고 갑론을박 중이다. 본지는 시장도매인 도입과 관련한 쟁점을 분석하기 위해 6회에 걸쳐 팜 역사속으로 | 박현욱 기자 | 2018-04-30 17:28 처음처음이전이전12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