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돈장 소모성 질병 근절 위해선 발생 현황에 대한 명확한 진단이 우선
양돈장 소모성 질병 근절 위해선 발생 현황에 대한 명확한 진단이 우선
  • 옥미영 기자
  • 승인 2023.12.13 08: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확한 질병 상태 모니터링 토대로 '중장기 방역대책' 마련해야

한돈협, 농식품부와 공동으로 '민·관·학 합동 방역대책위원회' 발족

[팜인사이트= 옥미영 기자] 

PED와 PRRS 등 양돈장에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끼치는 질병 근절을 위해선 질병 발생 현황에 대한 명확한 진단과 이에 기초한 중장기 방역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질병 발생 농장에 대한 이동과 출하제한 등 농가의 경제적 피해에 대한 보상이 수반되어야 질병발생에 대한 정확한 통계와 질병 컨트롤 등 확산 방지가 가능하다는 진단이다.

대한한돈협회(회장 손세희)는 한돈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방역 정책의 효과적인 수립을 위해 농림축산식품부와 공동으로 '민·관·학 합동 방역대책위원회'를 발족하고, 지난 12월 8일 제1차 회의를 개최한 가운데 위원회에 참석한 수의 전문가들은 이같이 제언했다.

한돈협회와 농림축산식품부가 공동 주최한  '민·관·학 합동 방역대책위원회' 1차 회의 전경 모습. 

 

양돈장의 정확한 질병 상태 파악이 우선

이날 위원회에서 고상억 발라드 동물병원 원장은 "국내 양돈장의 경우 질병 모니터링이 주로 출하단계에서만 취합되다보니 실제 농장에서의 임상감염, 야외 감염, 백신 접종으로 인한 항체형성 등이 혼재되어 있어 명확한 질병 상황을 파악하기 어렵다"면서 "현재 양돈장의 정확한 질병 상태가 모니터링 된 다음, 이 질병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통제할 것인지에 대한 대안 마련이 우선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오유식 한국베링거인겔하임 부장은 "PED와 PRRS 등 소모성 질병이 농가에 미치는 경제적 피해는 상당하지만 농장의 상황을 정의하는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게 현실"이라면서 "북미의 경우 농장 상황을 7단계로 구분해 각 단계별 정의 질병 진단 방법 등을 마련하고, 모든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안정화됐다'고 정의하는데, 국내의 경우 안정화 개념도 진단 주체별로 다르다보니 상당한 문제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창희 경상대 교수 역시 "정부, 지자체, 학계, 현장 등 각 주체별로 질병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지만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상황에서 이를 한곳으로 모아 함께 공유할 수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3종 가축전염병, 농장 이동제한 의무 해제 검토를

PED와 PRRS 등 3종 가축전염병 발생시 농장의 이동제한 의무 부과로 발생 농가의 신고 기피가 일상화되면서 질병의 명확한 모니터링이 어렵다는 의견도 많았다.

김현주 피엠씨동물병원 원장은 "양돈장의 질병 현황 파악을 위해선 농가의 전적인 협조가 수반되어야 하지만 질병발생시 이동제한 등에 따른 경제적 피해가 크다 보니 농가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서 "같은 맥락에서 질병 샘플링에 있어서도 신뢰도에 문제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오유식 부장도 "현장에선 3종 법정 전염병의 이동제한 의무에 대해 이제는 해제할 때가 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많은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정부 조사에서도 PED와 PRRS 발병 건수와 관련 KHIS 기준과 검역본부의 양성률 조사, 재해보험의 질병 신고비율이 모두 다르게 나타나는 등 발생농가의 신고 기피가 일상화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백신에만 의존하는 방역 정책 재고돼야 

질병 근절을 위한 백신 접종 준수와 관련해선 정부 및 수의전문가들이 철저한 백신 프로그램 이행을 주문했지만, 농가는 물론 일부 수의전문가들도 백신에만 전적으로 의존하는 방역 프로그램의 수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이재춘 한돈협회 강원도협의회장(에이스 종돈 대표)은 "PED나 PRRS와 관련해 전국적으로 백신 항체가가 낮아서 위험하다는 평가가 많지만 실제 현장에선 백신접종을 하지 않고도 음성돈군을 유지하는 농장이 의의로 많다. 이런농장들은 어떻게 청정화를 유지하고 있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면서 "질병이 발생하면 농가 피해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전국 일제 접종이 상시화 되어 있는 등 우리의 방역 정책은 백신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어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같은맥락에서 오유식 베링거인겔하임 부장도 "차단 방역이 유일한 질병 예방의 길"이라면서 "수십년간 PED나 PRRS 음성을 유지한 농가들의 경우 어떻게 이를 실현했는지, ‘차단방역에 대한 평가 툴’을 만들어 우수농장을 벤치마킹하는 방법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손세희 회장은 "이번 '민·관·학 합동 방역대책위원회'의 출범은 한돈산업에 있어 중대한 이정표다. 농가와 생산자들의 목소리가 정책 수립에 직접적으로 반영됨으로써, 보다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방역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농림축산식품부 안용덕 방역정책국장은 “농가의 실제 경험과 학계의 전문지식이 통합되어 정부는 보다 효과적인 방역 전략을 수립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민·관·학 합동 방역대책위원회' 발족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