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동물복지는 현실 감안한 연착륙 필요
돼지 동물복지는 현실 감안한 연착륙 필요
  • 박현욱 기자
  • 승인 2019.05.28 16: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럽 기준 한국과 달라 국내 돼지 농장 연구 선행돼야
동물복지 투자로 가격상승 소비자 부담↑공감대 필요
최재혁 팀장
최재혁 팀장

[팜인사이트=박현욱 기자] 국내에서 동물복지 농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급격한 제도 변화보다는 농가들이 실천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돼 주목된다. 

대한한돈협회는 5월 28일 홍익대학교 국제연수원에서 '2019 전국 한돈지도자 연수회'를 개최하고 '정부 동물복지형 축산 기준 마련 및 합리적 동물복지 정착 방안'에 대해 분임토의를 실시했다.

이날 주제발표에 나선 최재혁 대한한돈협회 경영기획팀장은 합리적 동물복지 정착 방향에 대해 유럽의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유럽의 경우 이미 1998년 그룹하우징 개념을 도입, 약 15년에 걸쳐 선진 동물복지를 정착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최 팀장은 유럽의 동물복지 정착 이유에 대해 높은 생산성을 꼽았다. 덴마크와 네덜란드에서는 각각 36두, 33두로 높은 생산성(MSY)을 자랑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돈팜스(국내 농가 데이터) 기준 17.8두에 불과하다.

최 팀장은 "유럽은 높은 생산성으로 동물 복지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헷지(Hedge)하고 있다"라고 설명하면서 "일부 국가에서는 정부에서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건축 규제 등을 완화해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스웨덴의 경우 임신틀, 분만틀을 제거할 때 발생하는 폐사율 증가로 인한 피해를 모돈 1두 당 120유로(15만원)를 보조해주고 있다. 또한 캐나다의 경우 사육 밀도 완화 시 사육두수 유지를 위해 일부 증축까지 허용해주고 있다.

국내 농가들이 동물복지 적용이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도 유럽과 다른 국내 농장환경을 꼽았다. 유럽의 돈사는 넓이가 14m가 되는 반면, 국내 대부분의 한돈농장은 6~7m수준으로 프리스톨(Free Access Stall, 자유롭게 돼지들이 이동할 수 있는 장치) 적용이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한국은 돼지 수입국가로써 생산비가 높아 동물복지를 단시간 안에 적용하는 것은 힘들다는 설명이다.

최 팀장은 "결국 동물복지는 단순한 사육환경 변화가 아닌 국민적인 공감대가 필요하며 동물복지를 위해 투자되는 비용은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소비자의 인식변화도 동반돼야 한다"면서 "유럽의 사례를 참고하되 한국 현실에 맞는 제도 정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승환 농림축산식품부 동물복지정책팀 사무관은 "동물복지에 대한 제도 마련을 농민들과 다각도로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면서 "해외 사례, 소비자뿐만 아니라 국내 농가 상황을 다각도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하태식 대한한돈협회장은 분임토의에 참석해 "최근 동물복지에 대한 요구가 높다"고 설명하면서 "유럽의 동물복지도 15년이 걸렸다. 동물복지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축산업에 대한 혐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