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늑장대처 아프리카돼지열병 토착화 가능성 있어”
“정부 늑장대처 아프리카돼지열병 토착화 가능성 있어”
  • 이은용 기자
  • 승인 2019.10.17 17: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장 “늦은 만큼 더욱 강력한 특단 조치 취해야” 촉구
방역당국 “모든 전파 가능성 대비 우선 조치 취해” 반박

[팜인사이트=이은용 기자]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우리나라에서 처음 확진된 지 한 달이 지났다. 지난 한 달 동안( 17일 현재) 총 14건이 국내 양돈농가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에는 민통선 지역에서 잇따라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확산 주 매개체인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바이러스가 검출(총 9차례)되고 있어 방역당국과 양돈농가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야생멧돼지에서 발견되고 있는 바이러스 지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는 것이다. 경기도 연천과 강원도 철원에 이어 파주까지 바이러스 확진 판정이 잇따라 나타나고 있다.

멧돼지 폐사체
멧돼지 폐사체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장윤석)은 지난 16일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거곡리 민통선 내에서 발견된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번 파주에서 발견은 철원과 연천지역 이외에서 검출된 첫 사례이다. 무엇보다 집돼지 발생 지역인 파주를 포함해 연천, 김포, 강화 등 북한과 맞닿은 접경지역에서 발생한 점은 멧돼지 사체 발견과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는 게 현장의 목소리다.

일각에서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에 감염된 멧돼지가 민통선이남 지역을 벗어나 바이러스를 확산시키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이런 상황인데 그동안 환경부를 비롯한 방역당국은 멧돼지에 의한 전파 가능성을 낮게 보고 강력한 조치를 취하지 않아 논란이 되고 있다.

한돈협회 관계자는 “그동안 한돈 농가들은 이미 중국에서 ASF가 발생했을 때 야생 멧돼지 개체수 조절 등 관리를 환경부에 수차례 요구했지만 번번이 묵살 당했다”면서 “계속해서 정부가 늦장대처를 하면서 지난 3일부터 지속적으로 비무장지대를 비롯해 민통선 인근 멧돼지 폐사체에서 ASF 바이러스가 검출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일부 전문가들도 정부의 늑장대처에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한 방역 전문가는 “해외 사례에서 보듯이 멧돼지를 통제하지 못한 국가에서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창궐해 양돈 산업이 무너지는 경우를 확인할 수 있다”면서 “그렇기 때문에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이 문제에 대해 대처해야 했다”고 꼬집었다.

이로 인해 일각에서는 정부의 안일한 대책으로 인해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토착화 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멧돼지 폐사체를 묻고 소독작업을 하는 모습.
멧돼지 폐사체를 묻고 소독작업을 하는 모습.

이에 정부는 지난 5월 북한에서 ASF가 발생한 후 접경지역을 통한 아프리카돼지열병 유입 등 모든 전파 가능성에 대비하고자 접경지역 14개 시군을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농가 방목사육 금지, 울타리 설치와 야생멧돼지 기피제 배포 등 우선 조치를 취했다고 반박하고 있다.

특히 야생멧돼지 폐사체가 발견된 곳 인근에는 포획틀과 포획트랩을 집중적으로 설치해 예찰 활동을 선제적으로 강화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지난 5월은 접경지역, 6월에는 전국 양돈농가 주변지역에 대한 총기 포획 등 농장에서 ASF가 발생하기 이전부터 야생멧돼지 포획을 강화해 포획 실적이 이전 대비 전국은 2배, 접경지역은 2.8배 증가했다고 문제 제기에 대해 반박했다.

그러면서 국내 야생멧돼지 예찰과 개체수 저감 등 긴급대책과 방역관리를 더욱 강화해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ASF 주요 감염 경로로 멧돼지가 계속해서 거론되고 있는 만큼 정부가 늦은 만큼 더욱 강력한 특단의 대책을 세워 멧돼지 통제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게 현장의 중론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