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9년 전 오늘 - 축산 소식39] 각 도(各道) 고을로 돼지 사육두수를 늘린 세종대왕
[509년 전 오늘 - 축산 소식39] 각 도(各道) 고을로 돼지 사육두수를 늘린 세종대왕
  • 남인식 편집위원
  • 승인 2018.08.31 13: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 18-55호, 양력 : 8월31일, 음력 : 7월 21일
[팜인사이트= 남인식 편집위원] 조선시대 사신의 접대를 주 업무로 하면서 동시에 고위 관원들의 식사 및 제향 때 이를 집행하는 집사들의 식사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예조(禮曹) 산하 속아문(屬衙門) 관청이 예빈시(禮賓寺)이었습니다. 이 예빈시에 목축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인 전구서(典廐署)를 합쳐 일을 나누어 맡아보던 분사(分司)를 분예빈시(分禮賓寺)라 일컬었으며, 태종때는 분예빈시와 사련소(司臠所)를 합쳐 사축서(司畜署)라 부르기도 하였고, 별좌(別坐) 3명과 별감(別監) 6명을 두었으며, 세조때는 여러 가축을 기르는 일을 맡은 종6품 아문으로 관원은 영(令) 1, (丞) 1, 사리(司吏) 2명을 두었습니다.

예빈시에서는 각종 음식물 등의 조달을 위해 전구서 등과 같이 염소나 양· 돼지· 오리· 기러기· 닭 등을 사육하기도 하였고, 공물로 찹쌀의 일종인 점미(粘米)· 메밀인 목맥미(木麥米)·참기름인 진유(眞油) 등을 공물로 징수하거나 별도로 준비하여 구비하였습니다.

예빈시의 관사는 초기에는 의정부(議政府) 남쪽에 두었다가 뒤에 서부 양생방(養生坊, 지금의 서소문 일대)으로 이전하였으며, 다시 남부 회현방(會賢坊) 남별궁(南別宮, 지금의 소공동에 있던 궁궐) 안으로 옮긴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580년전 오늘의 실록에는 분예빈시에서 기르는 돼지 마리수가 충분치 못하니 전국적으로 각 도별로 사육두수를 나누어 늘려 기르자는 논의가 있었습니다.

 

■세종실록 82권, 세종 20년 7월 21일 계묘 기사 1438년 명 정통(正統) 3

의정부에서 객인을 접대할 돼지를 지방에서 상납받는 규정을 지을 것을 아뢰다

의정부에서 예조의 정문에 의하여 아뢰기를,

"분예빈시(分禮賓寺)에서 따로 기르는 돼지  1백 마리와, 상시 기르는 돼지  1백 50마리로는 중국 사신과 인국(隣國) 객인(客人)의 공대(供待)가 넉넉지 못할 것 같사오니, 각도 각 고을로 하여금 상정(詳定)에 사육하는 수효 내에서, 목관(牧官) 이상은 15두, 지관(知官) 이상은 10두, 현관(縣官)은 5두로 정하되, 경기의 경우는 목관은 8두, 지관은 4두, 현관은 3두로 수효를 정하고, 따로 길러서 적당하게 상납하여 사객을 공대하게 하고, 그 돼지를 사육하는 근만(勤慢)에 대하여는, 그 계수관(界首官)으로 하여금 이를 규찰(糾察)하게 하옵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태백산사고본】 26책 82권 11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